이비인후과(Otorhinolaryngology, ENT)는 귀(Ear), 코(Nose), 목(Throat), 두경부(Head and Neck) 영역과 관련된 질환을 진단하고 치료하는 의학 분야로, 청력 저하, 난청, 이명(귀울림), 중이염, 어지럼증(전정기관 이상), 비염, 부비동염(축농증), 코골이 및 수면무호흡증, 후각 및 미각 장애, 편도 및 인두염, 음성 장애, 후두암, 갑상선 종양, 침샘 질환 등 다양한 질환을 다룬다. 귀 질환에는 난청, 이명, 중이염, 전정기능 이상이 포함되며, 난청은 소리가 전달되거나 신경이 손상되어 청력이 저하되는 질환으로, 전음성 난청(외이 및 중이 문제), 감각신경성 난청(달팽이관 및 청신경 이상), 혼합성 난청으로 구분되며, 선천성 난청은 유전적 요인과 태아기 감염 등이 원인이며, 노인성 난청은 나이가 들면서 청각 세포가 손상되어 발생한다. 치료법으로는 보청기 착용, 인공와우 이식, 청각재활치료, 돌발성 난청의 경우 고용량 스테로이드 치료가 사용되며, 소음성 난청은 소음 차단과 예방이 필수적이다. 최근 연구에서는 유전자 치료를 통해 청각 세포의 재생 가능성을 확인하고 있으며, 줄기세포 이식을 이용한 치료도 개발 중이다. 이명(Tinnitus)은 외부 소리 없이 지속적인 울림을 느끼는 증상으로, 청각 손상, 신경계 이상, 심혈관 질환, 스트레스 등이 원인이며, 치료법으로 보청기, 이명 차폐기(Tinnitus Masker), 소리 치료(Sound Therapy), 신경안정제, 혈관 확장제, 신경 조절 치료(TMS, rTMS)가 사용된다. 중이염(Otitis Media)은 급성, 삼출성, 만성으로 나뉘며, 급성 중이염은 세균 감염으로 발생하며 항생제 치료가 필요하고, 삼출성 중이염은 고막 뒤에 액체가 차는 질환으로 고막 천자술이나 중이 환기관 삽입술이 시행되며, 만성 중이염은 지속적인 염증으로 인해 청력 저하 및 고막 천공이 발생할 수 있어 수술적 치료가 필요하다. 어지럼증 및 전정기능 장애(Vestibular Disorders)는 귀의 평형 감각 기관 이상으로 발생하며, 대표적으로 양성돌발성체위현훈(BPPV), 메니에르병(Meniere’s Disease), 전정신경염이 있으며, 치료법으로 전정재활운동, 항히스타민제, 이뇨제, 스테로이드 치료, 이석정복술이 적용된다. 최근에는 전정기능을 분석하는 AI 기반 검사 기술이 개발되어 정확한 원인 분석이 가능해지고 있으며, 개인 맞춤형 전정 재활 치료도 연구되고 있다. 코 질환으로는 알레르기 비염, 부비동염, 비중격만곡증, 코골이 및 수면무호흡증이 있으며, 알레르기 비염은 꽃가루, 집먼지진드기, 동물 털 등 알레르겐이 원인으로, 항히스타민제, 스테로이드 비강 스프레이, 면역요법(알레르겐 면역치료), 고주파 비갑개 축소술이 치료에 사용된다. 부비동염(Sinusitis, 축농증)은 바이러스, 세균 감염으로 부비동에 염증이 생기는 질환으로 급성 부비동염은 항생제 치료, 비강 세척이 필요하고, 만성 부비동염은 부비동 내시경 수술(FESS)이 시행된다. 비중격만곡증(Deviated Nasal Septum)은 코 중앙의 연골이 휘어져 있어 코막힘과 호흡곤란을 유발하며, 치료법으로 비중격 교정술(Septoplasty)이 시행된다. 코골이 및 수면무호흡증(Snoring & Sleep Apnea)은 수면 중 기도가 부분 또는 완전히 막히면서 호흡 장애가 발생하는 질환으로, 양압기(CPAP), 구강 내 장치, 편도절제술, 설근부 절제술, 기도 확장 수술 등이 치료법으로 사용되며, 최근에는 하이푸(HIFU) 기반 비수술적 기도 확장술이 연구되고 있다. 목 및 후두 질환에는 인후염, 편도선염, 음성 장애, 연하곤란이 있으며, 인후염(Pharyngitis)은 바이러스 또는 세균 감염으로 인해 발생하며 급성 인후염의 경우 대개 바이러스성 감염이 많고, 세균성 감염(연쇄상구균 감염) 시 항생제 치료가 필요하다. 편도선염(Tonsillitis)은 편도선에 반복적인 염증이 발생하는 질환으로, 만성적으로 반복될 경우 편도절제술이 필요할 수 있다. 음성 장애(Vocal Disorders, Dysphonia)는 성대 결절, 성대 용종, 후두염으로 인해 발생하며, 성대 휴식, 음성 치료, 성대 내 주사 치료(보톡스, 필러), 레이저 치료가 시행된다. 최근에는 성대 주사 치료에 줄기세포를 이용한 재생 치료가 적용되고 있으며, 후두 신경 조절 치료도 연구되고 있다. 연하곤란(Dysphagia, 삼킴 장애)은 음식물 삼킴이 어려워지는 질환으로, 뇌졸중, 신경근육질환, 노화 등이 원인이며, 연하 재활 치료, 식이 조절, 근육 자극 치료(NMES) 등이 사용된다. 두경부 및 갑상선 질환에는 구강암, 인두암, 후두암, 침샘암, 갑상선암 등이 포함되며, 두경부암은 흡연과 음주가 주요 원인으로 조기 발견이 중요하며, 치료법으로 수술적 절제, 방사선 치료, 항암 치료, 면역치료가 사용된다. 갑상선 결절 및 갑상선암(Thyroid Nodules & Cancer)은 양성 및 악성 결절로 구분되며, 경과 관찰, 고주파 치료, 갑상선 절제술이 필요할 수 있다. 침샘 질환(Salivary Gland Disorders)은 침샘염, 침샘 결석, 침샘 종양이 있으며, 약물 치료, 침샘 결석 제거술, 수술적 치료가 시행된다. 최근 이비인후과는 AI 기반 청각 재활, 인공와우 이식 기술 발전, 로봇을 이용한 미세수술, 음성 분석을 통한 조기 질환 예측, 유전자 치료 및 면역치료 기술이 접목되면서 더욱 정밀한 진단과 치료가 가능해지고 있으며, 청각 손실 환자를 위한 유전자 치료 연구, AI 음성 분석을 통한 조기 후두암 예측, 맞춤형 보청기 및 인공와우 개발, 로봇 수술 시스템을 이용한 최소 침습 수술, 바이오칩을 이용한 알레르기 진단 및 치료 등이 활발히 연구되고 있으며, 미래에는 맞춤형 유전자 치료 및 인공지능 기반 치료 기술이 더욱 활성화될 것으로 전망된다.
의학
이비인후과는
300x250
반응형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