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뇨의학과는 신장, 요관, 방광, 요도 같은 요로계와 고환, 음경, 전립선 등 남성 생식기계에 관련된 질환을 다루는 전문 분야로, 남성뿐 아니라 여성과 소아도 진료 대상이다. 전립선 질환은 전립선비대증, 전립선염, 전립선암으로 나뉘며, 전립선비대증은 50대 이후 남성의 약 절반 이상이 겪는 흔한 질환으로 전립선이 요도를 압박해 소변 줄기 약화, 빈뇨, 야간뇨, 요폐 등의 증상을 유발하고, 직장수지검사(DRE), PSA 측정, 전립선 초음파, 요속검사 등을 통해 진단하며, 치료는 알파차단제, 5α-환원효소 억제제 같은 약물뿐 아니라 경요도전립선절제술(TURP), 홀륨레이저절제술(HoLEP), 수증기열 응고술(REZUM), 전립선동맥색전술(PAE) 등 다양한 비침습적 시술이 활용된다. 전립선염은 급성과 만성으로 나뉘며 급성은 고열, 회음부 통증, 배뇨통이 갑작스럽게 나타나고 만성은 수개월 이상 배뇨 불편, 회음부 불쾌감, 성기능 저하 등이 지속되며, 치료는 항생제, 소염진통제, 알파차단제, 골반저이완운동, 자율신경치료 등이 병행된다. 전립선암은 초기에 증상이 거의 없어 PSA 수치 상승으로 발견되며, 조직검사, MRI, PET-PSMA 영상으로 병기와 악성도를 판단하고 글리슨 점수에 따라 능동적 감시, 로봇보조 전립선절제술(RARP), 방사선치료, 호르몬차단요법, 항암 및 표적치료가 결정되며, 로봇수술은 신경보존과 요실금 예방에 효과적이다. 요로결석은 소변 내 무기질이 뭉쳐 결석을 형성한 것으로, 신장, 요관, 방광, 요도에 위치할 수 있으며, 옆구리 통증(산통), 혈뇨, 구토 등을 유발하고, 비조영CT가 가장 정확한 진단법이며, 치료는 결석 크기에 따라 수분섭취와 약물로 배출을 유도하거나 체외충격파쇄석술(ESWL), 요관내시경술(URS), 연성내시경, 경피적신석제거술(PCNL)을 시행하며, 결석 성분 분석을 통해 티아지드, 칼륨시트르산, 알로퓨리놀 등의 약물치료 및 식이요법으로 재발을 예방한다. 방광염은 여성에게 흔하며 요도가 짧아 세균이 쉽게 침입해 발생하며, 급성은 항생제로 치료되지만 재발성은 방광내시경, 배양검사 등을 통해 원인을 파악하고, 간질성 방광염은 감염 없이 방광 점막의 GAG층 손상으로 발생해 방광수압확장술, 방광 내 약물주입, 보톡스 주사, 경구 GAG보충제 등이 적용되며, 심한 경우 방광재건수술까지 필요하다. 요실금은 복압성, 절박성, 혼합형으로 구분되며, 골반저근 운동, 약물치료, 바이오피드백, 보톡스, TOT·TVT 슬링수술, 인공요도괄약근 삽입술 등으로 치료한다. 발기부전은 혈관질환, 당뇨, 고혈압, 약물부작용, 신경손상, 호르몬 저하 등으로 발생하며, 진단은 도플러초음파, 호르몬검사, 야간음경강직검사(NPT) 등을 통해 하며, PDE5 억제제, 자가주사, 음압기, 음경보형물 삽입술이 사용되며, 특히 팽창형 보형물은 자연스러운 발기 유지가 가능하다. 남성 불임은 전체 불임 원인의 4050%를 차지하며, 정액검사로 정자 수·운동성·형태를 분석하고, 정계정맥류, 정관폐쇄, 호르몬 이상, 유전질환 등이 원인이며, 도플러 초음파로 진단 후 미세현미경적 정계정맥류 수술, 정자채취술(mTESE, PESA, TESA), 정관복원술 등이 이루어진다. 여성에서는 방광염 외에도 간헐성 요폐, 복압성 요실금, 과민성 방광이 흔하며, 특히 출산 이후 골반저지지 약화로 인한 질환은 물리치료, 약물, 수술이 병행된다. 소아 비뇨의학 분야에서는 야뇨증, 잠복고환, 요도하열, 선천성 수신증, 방광요관역류 등이 주요 질환이며, 야뇨증은 성장 지연, 심리적 요인, 항이뇨호르몬 부족 등이 원인으로 행동치료, 약물치료, 알람요법이 사용되고, 잠복고환은 1세 전 수술이 권장되며, 요도하열은 기능 및 미용적 이유로 단계별 재건술이 필요하다. 비뇨기계 종양에는 신장암, 방광암, 고환암이 있으며, 신장암은 복부 CT로 진단되고, 병기에 따라 신장부분절제술이나 전절제술, 면역항암제나 표적치료제를 사용하며, 방광암은 무통성 혈뇨로 발견되고, 방광내시경과 세포검사로 진단 후 초기에는 경요도절제술(TURBT)과 방광 내 BCG 주입치료, 진행 시 방광전절제술, 인공방광 이식, 요루전환술 등을 시행하며, 고환암은 2040대 남성에게 흔하고 자가진단이 중요하며, 고환절제술과 항암·방사선 치료가 병기 따라 병행된다. 마지막으로 신경인성 방광은 척수손상, 당뇨병, 다발성 경화증 등 신경계 질환으로 인해 방광 수축과 이완 기능이 손상되는 질환으로, 자가도뇨, 보톡스 주사, 방광재건술, 인공방광 삽입 등 고난도 치료가 필요하며, 비뇨의학과는 단순 배뇨 질환을 넘어서 삶의 질, 전신 건강, 성기능, 생식능력을 모두 다루는 고도의 전문 진료 분야다.
의학
비뇨의학과는
300x250
반응형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