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비인후과는
이비인후과(Otorhinolaryngology, ENT)는 귀(Ear), 코(Nose), 목(Throat), 두경부(Head and Neck) 영역과 관련된 질환을 진단하고 치료하는 의학 분야로, 청력 저하, 난청, 이명(귀울림), 중이염, 어지럼증(전정기관 이상), 비염, 부비동염(축농증), 코골이 및 수면무호흡증, 후각 및 미각 장애, 편도 및 인두염, 음성 장애, 후두암, 갑상선 종양, 침샘 질환 등 다양한 질환을 다룬다. 귀 질환에는 난청, 이명, 중이염, 전정기능 이상이 포함되며, 난청은 소리가 전달되거나 신경이 손상되어 청력이 저하되는 질환으로, 전음성 난청(외이 및 중이 문제), 감각신경성 난청(달팽이관 및 청신경 이상), 혼합성 난청으로 구분되며, 선천성 난청은 유전적 요인과 태아기 감염 ..
2025. 3. 21.
피부과는
피부과(Dermatology)는 피부, 모발, 손발톱, 점막(입술, 입안, 성기 주변 점막 포함)과 관련된 다양한 질환을 진단하고 치료하는 의학 분야로, 여드름, 습진, 건선, 탈모, 피부암, 아토피 피부염, 백반증, 피부 감염증(세균, 곰팡이, 바이러스 감염), 두드러기, 피부 알레르기, 자가면역 질환, 색소성 질환, 노화 및 미용 관련 치료까지 폭넓은 영역을 다룬다. 피부는 단순한 신체의 외부 보호막이 아니라 면역체계의 일부로서 외부 병원체(세균, 바이러스, 곰팡이)로부터 신체를 보호하고 체온을 조절하는 중요한 역할을 하며, 피부 건강은 전반적인 신체 건강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피부과에서는 질환 치료뿐만 아니라 피부 노화, 색소 질환, 레이저 치료, 미용 시술 등 피부 미용 관리까지 포함하는 광범위..
2025. 3. 20.
정신건강의학과는
정신건강의학과(Psychiatry)는 뇌와 정신 기능의 이상으로 인해 발생하는 다양한 정신질환을 진단하고 치료하는 의학 분야로, 우울증, 불안장애, 조현병, 양극성 장애(조울증), 강박장애(OCD), 공황장애,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PTSD), 섭식장애, 수면장애, 중독(알코올 및 약물), 성격장애 등 다양한 질환을 다룬다. 정신질환은 단순한 감정 변화나 일시적인 스트레스 반응이 아니라 신경전달물질 불균형, 유전적 요인, 환경적 요인, 신경회로 이상 등 복합적인 원인에 의해 발생하기 때문에 다각적인 치료 접근이 필요하며, 최근에는 맞춤형 정밀 정신의학(Personalized Psychiatry)이 강조되고 있다. 정신건강의학과에서 제공하는 치료 방법은 지속적으로 발전하고 있으며, 약물 치료, 정신 치료..
2025. 3. 19.
신경과는
신경과(Neurology)는 뇌, 척수, 말초신경, 근육 및 신경계 전체의 기능 이상과 관련된 질환을 진단하고 치료하는 의학 분야로, 신경계의 구조적·기능적 이상을 평가하여 뇌졸중, 치매, 파킨슨병, 간질, 두통, 말초신경병증, 근육질환, 다발성 경화증 등 다양한 신경계 질환을 다루며, 신경외과가 외과적 수술을 담당하는 것과 달리 신경과는 약물 치료와 비수술적 치료를 중심으로 신경계 질환을 관리한다. 현대 신경과는 MRI, CT, 뇌파검사(EEG), 근전도검사(EMG), 유전자 검사 등 첨단 진단 기술을 활용하여 질환을 조기에 발견하고 환자의 신경 기능을 최대한 유지하는 데 초점을 두며, 혈관성 신경질환, 퇴행성 신경질환, 신경계 감염질환, 발작 및 운동 이상 질환, 말초신경 및 근육 질환 등을 다룬다...
2025. 3. 19.
영상의학과는
영상의학과(Radiology)는 X-ray, CT(컴퓨터 단층촬영), MRI(자기공명영상), 초음파, PET(양전자 방출 단층촬영) 등의 영상 기술을 이용하여 인체 내부를 촬영하고 질병을 진단 및 치료하는 의학 분야로, 단순 촬영뿐만 아니라 촬영된 영상을 판독하여 암, 뇌졸중, 심장병, 골절, 폐질환, 위장 질환 등 거의 모든 질병을 조기에 발견하고 치료 방향을 결정하는 중요한 역할을 하며, 크게 ① 영상 진단(Diagnostic Radiology), ② 중재적 시술(Interventional Radiology), ③ 핵의학(Nuclear Medicine) 세 가지 분야로 나뉜다. 영상 진단은 몸속을 들여다보는 검사 방법으로, X-ray는 가장 기본적인 영상 검사로서 뼈 골절, 폐렴, 결핵, 기흉 등의 ..
2025. 3. 18.
이식외과에서는
이식외과(Transplant Surgery)는 장기나 조직을 기증자로부터 받아 환자에게 이식하는 외과 분야로, 신장, 간, 심장, 폐, 췌장, 소장 등의 주요 장기 이식뿐만 아니라, 피부, 뼈, 혈관, 안구, 신경과 같은 조직 이식까지 포함한다. 현대 의학에서 이식외과는 말기 장기 부전 환자의 생명을 연장하고 삶의 질을 획기적으로 향상시키는 핵심적인 분야이며, 면역학, 내과, 감염학, 마취학, 조직공학, 유전자 치료 등과도 밀접한 관련이 있다. 현재 세계적으로 이식 기술의 발전과 면역억제제의 개선으로 인해 생존율이 증가하고 있지만, 장기 부족 문제와 면역 거부반응, 합병증 위험 등 여러 과제가 남아 있다. 이식외과에서는 다양한 장기 및 조직을 이식하는데, 크게 장기 이식(Solid Organ Transp..
2025. 3. 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