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주배경복사4 우주의 크기와 나이를 해부하다 🌌 우주의 크기와 나이 – 인간이 헤아리는 무한의 경계 🪐 우주는 얼마나 클까? 상상을 초월하는 거대함 우주의 크기는 인간의 상상을 초월합니다. 우리가 사는 은하인 **우리 은하(Milky Way)**만 해도 지름이 약 10만 광년에 달하며, 이런 은하가 수천억 개 이상 존재하는 관측 가능한 우주의 지름은 약 930억 광년(약 93 billion light-years)로 추정됩니다. 여기서 ‘관측 가능한’이라는 표현은, 우리가 현재의 기술로 볼 수 있는 한계를 의미합니다. 실제 우주의 전체 크기는 이보다 훨씬 더 클 수 있으며, 어떤 이론에서는 우주가 무한히 펼쳐져 있을 수도 있다고 봅니다. 이 막대한 거리는 우리가 일상적으로 사용하는 단위로는 도저히 감이 오지 않기 때문에 천문학자들은 보통.. 2025. 6. 15. 138억 년 전, 우주의 탄생 이야기 🌌 우주는 어떻게 시작되었을까?하늘을 올려다보며 사람들은 오랫동안 질문해왔습니다. 이 모든 별들과 은하, 그리고 우리 자신은 어디에서 왔을까? 우리는 어떻게 이 자리에 있게 되었을까? 고대의 신화부터 현대의 과학까지, 인간은 늘 그 질문의 답을 찾기 위해 노력해왔습니다. 그리고 20세기 초, 하나의 혁명적인 이론이 등장하며 우주의 기원에 대한 설명을 과학적으로 풀어가기 시작했습니다. 그것이 바로 **빅뱅 이론(The Big Bang Theory)**입니다. 💥 빅뱅 이론이란 무엇인가?빅뱅 이론은 말 그대로, 우주가 약 138억 년 전 ‘하나의 점’에서 갑작스럽게 팽창하면서 시작되었다는 가설입니다. 이 ‘점’은 물질, 에너지, 공간, 시간 모든 것이 압축된 무한히 밀도 높은 특이점(singularity.. 2025. 6. 14. 전파 망원경의 원리와 역할 📡 보이지 않는 우주를 듣다 – 전파 망원경의 세계 🌌 별빛 말고, 별의 소리? 우리는 흔히 망원경이라 하면, 빛을 모아 별을 확대해 보여주는 기계를 떠올립니다.하지만 우주에는 ‘빛’보다 더 많은 것이 존재합니다.눈에 보이지 않지만, 확실히 존재하는 보이지 않는 파동, 바로 **전파(Radio Wave)**입니다. 이 전파를 포착해 우주의 신호를 듣는 것이 바로 **전파 망원경(Radio Telescope)**입니다.눈이 아닌 ‘귀’로 우주를 듣는 장치.이 망원경은 우주가 보내는 무수한 속삭임을 해석하고, 우리가 결코 볼 수 없는 보이지 않는 우주를 그려내는 과학의 청진기입니다. 📡 전파 망원경이란? 전파 망원경은 천체에서 방출되는 전파(라디오파)를 수신하고 분석하는 관측 장비입니다.우.. 2025. 5. 29. 인공위성으로 본 우주의 비밀: 현대 천문학이 달라진 이유 인공위성의 천문학적 활용: 우주의 눈, 지구를 넘다 인공위성은 단지 통신이나 기상 관측에만 쓰이는 것이 아닙니다. 오늘날 인공위성은 천문학의 핵심 장비로 자리 잡았으며, 인간이 우주의 기원, 구조, 진화를 이해하고 외계 생명체의 단서를 찾는 데 핵심 역할을 합니다. 특히 지구 대기권 바깥에서 작동하기 때문에 지상 망원경으로는 결코 얻을 수 없는 정보들을 제공하며, 천문학의 판도를 바꿔놓고 있습니다. 1. 지구 대기의 장벽을 넘다: 다파장 우주 관측 우주는 다양한 전자기파(빛)로 구성된 정보를 보내지만, 지구 대기는 이를 대부분 차단합니다. 예를 들어, 감마선과 X선, 자외선은 지표에 도달하지 못하며, 심지어 일부 적외선도 대기 수증기에 흡수됩니다. 그래서 고에너지 또는 장파장 대역의 관측은 인공.. 2025. 4. 30.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