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신장3

비뇨의학과는 비뇨의학과는 신장, 요관, 방광, 요도 같은 요로계와 고환, 음경, 전립선 등 남성 생식기계에 관련된 질환을 다루는 전문 분야로, 남성뿐 아니라 여성과 소아도 진료 대상이다. 전립선 질환은 전립선비대증, 전립선염, 전립선암으로 나뉘며, 전립선비대증은 50대 이후 남성의 약 절반 이상이 겪는 흔한 질환으로 전립선이 요도를 압박해 소변 줄기 약화, 빈뇨, 야간뇨, 요폐 등의 증상을 유발하고, 직장수지검사(DRE), PSA 측정, 전립선 초음파, 요속검사 등을 통해 진단하며, 치료는 알파차단제, 5α-환원효소 억제제 같은 약물뿐 아니라 경요도전립선절제술(TURP), 홀륨레이저절제술(HoLEP), 수증기열 응고술(REZUM), 전립선동맥색전술(PAE) 등 다양한 비침습적 시술이 활용된다. 전립선염은 급성과 만성.. 2025. 3. 23.
이식외과에서는 이식외과(Transplant Surgery)는 장기나 조직을 기증자로부터 받아 환자에게 이식하는 외과 분야로, 신장, 간, 심장, 폐, 췌장, 소장 등의 주요 장기 이식뿐만 아니라, 피부, 뼈, 혈관, 안구, 신경과 같은 조직 이식까지 포함한다. 현대 의학에서 이식외과는 말기 장기 부전 환자의 생명을 연장하고 삶의 질을 획기적으로 향상시키는 핵심적인 분야이며, 면역학, 내과, 감염학, 마취학, 조직공학, 유전자 치료 등과도 밀접한 관련이 있다. 현재 세계적으로 이식 기술의 발전과 면역억제제의 개선으로 인해 생존율이 증가하고 있지만, 장기 부족 문제와 면역 거부반응, 합병증 위험 등 여러 과제가 남아 있다. 이식외과에서는 다양한 장기 및 조직을 이식하는데, 크게 장기 이식(Solid Organ Transp.. 2025. 3. 18.
신장내과의 역할 신장내과는 신장과 관련된 질환을 진단하고 치료하는 의학 분야로, 신장은 혈액을 여과하여 노폐물을 배출하고 체내 수분과 전해질 균형을 유지하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하루 약 50리터의 혈액을 여과하고 1.5리터의 소변을 만들어 체외로 배출하며, 나트륨·칼륨·칼슘 등의 전해질 균형을 조절하고 혈압을 조절하는 호르몬을 분비하며, 적혈구 생성을 촉진하는 에리트로포이에틴(EPO)을 생성하는 등 필수적인 기능을 수행한다. 신장 기능이 저하될 경우 다양한 질환이 발생하며, 대표적으로 만성 신장 질환(CKD), 급성 신부전(AKI), 신장 결석, 신염, 다낭성 신장 질환(PKD) 등이 있다. CKD는 당뇨병, 고혈압 등의 원인으로 신장의 기능이 점진적으로 저하되는 질환이며, AKI는 탈수, 감염, 약물 독성 등으로 인.. 2025. 3.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