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제 평화의 날: 인류가 함께 만드는 휴전과 평화의 약속
국제 평화의 날(International Day of Peace) 은 매년 9월 21일에 기념하는 유엔(UN) 공식 국제 기념일로, 전쟁과 폭력 없는 세상을 바라는 인류의 이상을 담고 있습니다. 이 날은 단순한 기념일을 넘어, 전 세계 시민이 “평화란 무엇인가”를 되새기고 실천하도록 이끄는 글로벌한 약속의 날입니다.
📜 제정 배경과 역사
국제 평화의 날은 1981년, 영국과 코스타리카 대표의 제안으로 유엔 총회에서 채택되었습니다. 초기에는 매년 9월 셋째 주 화요일로 정해졌지만, 2001년 유엔 총회 결의에 따라 9월 21일로 고정되었습니다.
이날의 목적은 모든 국가와 시민이 평화의 이상을 기리고, 전 인류가 비폭력과 화합을 실천할 수 있도록 장려하는 것입니다. 특히, 한국의 경희대학교 설립자 조영식 박사가 세계 평화의 날 제안에 기여하여 제정 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습니다.
🔔 기념 방법과 상징
유엔 본부에서는 이날을 기념해 평화의 종을 울리며 행사를 시작합니다. 이 종은 일본 협회가 기증한 것으로, 여러 대륙의 사람들이 기부한 동전으로 주조되었으며 “전쟁으로 희생된 인류를 기억하라”는 의미를 담고 있습니다.
또한 이 날은 공식적으로 **‘세계 휴전과 비폭력의 날’**로 지정되어 24시간 동안 전투와 폭력을 멈추자는 상징을 지니고 있습니다. 전 세계에서는 세미나, 평화 캠페인, 토론회, 문화 행사 등이 진행되며, 교육 기관과 시민단체, 정부가 함께 참여합니다.
🌍 국제적 행사와 영향
유엔은 매년 국제 평화의 날을 맞아 모든 회원국과 NGO, 시민사회가 참여해 평화의 의미를 확산할 것을 권고합니다. 국가와 도시마다 평화 축제, 평화 캠페인, 문화 행사가 열리며, 예를 들어 Peace BAR Festival 같은 글로벌 행사가 대표적입니다.
또한 매년 주제가 선정되어 인류가 직면한 문제를 공유하고 함께 해법을 찾도록 합니다. 예컨대 2021년 주제는 **“더 나은 회복을 통한 공정하고 지속가능한 세상”**이었습니다.
🌱 평화의 메시지와 실천
이 날은 단순한 휴전만이 아니라, 인류가 지켜야 할 가치들을 되새기는 시간입니다.
- 차별과 증오 없는 사회
- 비폭력 실천과 갈등 해결
- 타인에 대한 이해와 관용 확산
- 지속가능발전목표(SDGs) 16.1항 ‘모든 폭력 줄이기’와의 연계
오프라인 캠페인뿐 아니라 온라인 세미나와 국제 토론을 통해 인식 개선 활동이 활발히 이어지고 있습니다.
🇰🇷 한국의 역할과 의미
한국은 국제 평화의 날 제정 과정에서 중요한 기여를 했습니다. 조영식 박사의 제안이 1981년 제36차 유엔 총회에서 만장일치로 수용되며 공식화되었고, 이후 한국 사회는 평화 캠페인, 학술 포럼, 교육 활동 등을 통해 적극적으로 참여해왔습니다.
특히 2001년 9·11 테러 직후, 국제 사회가 연대와 협력의 필요성을 절실히 느끼며 이 날이 9월 21일로 고정된 것은 상징적 의미가 큽니다.
🌐 국제 평화의 날은 인류 모두에게 “평화란 무엇인가”라는 질문을 던지고, 그 답을 행동으로 옮기도록 촉구하는 세계적 기념일입니다. 하루의 휴전과 비폭력 실천이 단순한 상징에 그치지 않고, 지구촌이 평화롭게 공존하기 위한 작은 첫걸음이 되는 것입니다.
'monthly' 카테고리의 다른 글
치매 극복의 날 의미와 중요성 (0) | 2025.09.21 |
---|---|
알츠하이머의 날, 기억을 지키다 (0) | 2025.09.21 |
국제 연안 정화의 날 의미 (0) | 2025.09.20 |
청년의 날, 대한민국의 미래 (0) | 2025.09.20 |
세계 인구의 날과 우리의 과제 (0) | 2025.07.11 |